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24)
CI/CD 파이프라인 구축 기본 개념 서비스가 단순할 때는 수동 배포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서버 한 대, 어플리케이션 하나, 개발자 한 명이면FTP로 파일 업로드하고 WAS 재시작하면 배포가 끝났습니다.하지만 지금은 환경이 다릅니다.서비스는 마이크로서비스 구조로 나뉘고,하루에도 수십 개의 코드가 병합되고,기능 출시 주기가 짧아지고 있습니다.서비스 운영은 더이상 “수동 배포” 방식으로 버틸 수 없습니다.이 환경에서 필수 조건이 된 것이 바로 CI/CD 파이프라인 입니다.CI란 무엇인가?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CI는 “코드 통합 + 자동 검증” 개념입니다.개발자들은 각자 브랜치에서 작업하고, 완료된 기능은 Git에 Pull Request로 병합합니다.이때 단순히 Merge만 하는 것이 아니라,CI 도구가 자..
Terraform과 Ansible의 개념과 차이 클라우드 자동화 공부를 시작하면 100% 등장하는 이름이 두 개 있습니다.바로 Terraform과 Ansible입니다.둘은 모두 DevOps에서 자동화를 다루는 도구이지만, 목적과 영역이 완전히 다릅니다.이걸 모른 상태에서 도구를 선택하면 통제가 안 되는 인프라가 되거나,툴을 잘못 쓴 채로 운영 피로도만 높아질 수 있습니다.1) Terraform이란? (인프라를 만드는 툴)Terraform은 인프라(Code) 기반으로 클라우드 리소스를 생성하고 삭제하는 도구입니다.AWS의 EC2, RDS, VPC, Subnet 같은 자원들을 “코드로 정의해서” 자동으로 만드는 것입니다.그래서 Terraform은 “인프라를 선언하는 언어”라고 합니다.사람이 콘솔에서 클릭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Git에 저장하고 버전 관..
인프라 자동화(IaC, Infrastructure as Code)란? 클라우드 시대에서 인프라 관리 방식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과거에는 서버를 직접 설치하고, OS를 세팅하고, 방화벽과 네트워크 구성을 수작업으로 해야 했습니다.하지만 이 방식은 확장성, 일관성, 속도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명확했습니다.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인프라 자동화(IaC, Infrastructure as Code) 입니다.IaC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관리하는 방식이며,현대 DevOps 환경에서 기본 원칙이 되었습니다.1) IaC(Infrastructure as Code)란?IaC(인프라 자동화)는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로드밸런서, 보안 설정까지“모든 인프라 구성을 코드 형태로 정의하고, 자동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즉, 인프라를 콘솔 클릭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YAML,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작동 원리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이미지가 늦게 뜨는 문제”나 “동영상이 끊기는 현상”을 경험해 본 적이 있을 겁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전 세계 어디서든 빠른 콘텐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 바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입니다.CDN은 단순히 파일을 저장하는 기술이 아니라,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를 전달해 지연(latency) 을 최소화하는 지능형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입니다.이번 글에서는 CDN의 구조와 작동 원리, 핵심 기술 요소, 그리고 실제 서비스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1. CDN이란?CDN(Content Delivery Network) 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 분산된 서버(엣지 서버, Edge Server..
클라우드 DB 서비스 비교 (RDS vs Cloud SQL) 기업이 클라우드로 전환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핵심 인프라가 바로 데이터베이스(DB) 입니다.직접 설치형 DB를 운영하는 대신, 최근에는 클라우드 DB 서비스(DBaaS) 를 통해자동 백업, 보안 패치, 확장성을 한 번에 해결하는 추세죠.대표적인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는Amazon RDS(AWS) 와 Google Cloud SQL(GCP) 이 있습니다.두 서비스는 모두 ‘완전관리형 클라우드 DB’이지만,지원 엔진·비용·확장성·운영 편의성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RDS와 Cloud SQL의 구조적 차이, 장단점, 선택 기준을티스토리 SEO 형식에 맞춰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1. 클라우드 DB 서비스란?클라우드 DB 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설치하지..
클라우드 서버 직접 세팅 vs 관리형 서비스 차이 기업이나 개발자가 클라우드를 도입할 때 가장 먼저 고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바로 직접 서버를 세팅해서 운영할 것인가, 아니면 관리형(Managed)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두 방식 모두 같은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지만,운영 주체와 관리 범위, 비용 구조가 완전히 다릅니다.이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서비스 확장 시 비효율이나 장애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클라우드 서버 직접 세팅 vs 관리형 서비스의 구조적 차이와 장단점을전문가의 시각에서 분석해보겠습니다.1. 클라우드 서버 직접 세팅이란?‘직접 세팅(Self-managed)’은 사용자가 클라우드 인프라를 직접 구성하고 운영하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AWS EC2, Naver Cloud VM, Google Co..
AWS 프리티어로 개인 프로젝트 구축하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제 개인 개발자에게도 필수 도구가 되었습니다.하지만 막상 사용하려면 과금 구조가 복잡하고,비용이 빠르게 늘어나는 것이 가장 큰 부담이죠.그런데 AWS(아마존 웹 서비스) 는 새로운 사용자를 위해 프리티어(Free Tier) 정책을 제공합니다.이 프리티어를 잘 활용하면, 1년 동안 무료로 개인 프로젝트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AWS 프리티어의 구성, 주요 서비스, 프로젝트 활용법, 주의사항을티스토리 SEO 방식으로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AWS 프리티어란?AWS Free Tier(프리티어)는 신규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무료 사용 정책으로,AWS의 핵심 서비스를 일정 기간(또는 용량 한도) 내에서 무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해줍니다.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12개월..
오라클 클라우드(OCI) 무료 티어 활용법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제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 개발자, 학생, 스타트업에게도 필수 인프라가 되었습니다.하지만 AWS나 Azure처럼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과금 구조가 복잡해처음 사용하려는 사람에게 부담이 될 때가 많습니다.그런데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Infrastructure, 이하 OCI) 는이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료 티어(Free Tier)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즉, 누구나 신용카드만 등록하면 영구적으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Always Free) 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OCI 무료 티어의 구성, 장점, 활용법, 그리고 주의사항을티스토리 SEO 형식에 맞춰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1. 오라클 클라우드(OCI) 무료 티어란?오라클 클라우드 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