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시대에서 인프라 관리 방식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과거에는 서버를 직접 설치하고, OS를 세팅하고, 방화벽과 네트워크 구성을 수작업으로 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확장성, 일관성, 속도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명확했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인프라 자동화(IaC, Infrastructure as Code) 입니다.
IaC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관리하는 방식이며,
현대 DevOps 환경에서 기본 원칙이 되었습니다.
1) IaC(Infrastructure as Code)란?
IaC(인프라 자동화)는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로드밸런서, 보안 설정까지
“모든 인프라 구성을 코드 형태로 정의하고, 자동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즉, 인프라를 콘솔 클릭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YAML, JSON, DSL 같은 구성파일 텍스트로 인프라를 선언하고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하면 인프라는 “사람의 기억”이 아니라 “코드”로 관리되기 때문에
일관성, 재현성,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2) 왜 IaC가 필수인가?
클라우드 인프라는 계속 변합니다.
서비스가 성장하면 더 많은 서버가 필요하고, 보안 그룹 규칙도 계속 변경됩니다.
만약 이런 작업을 수동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누구는 A 방식으로 세팅하고,
- 다른 사람은 B 방식으로 세팅하며,
- 문제 발생 시 원인이 불투명하고 추적도 어려움
IaC는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합니다.
IaC는 다음 효과를 제공합니다:
- 인프라 배포 속도가 빨라진다
- 환경 구성의 일관성이 유지된다
- 버전 관리가 가능해진다 (Git으로 관리 가능)
- 롤백이 가능하다 (코드 수준에서 되돌리기)
- 테스트 자동화·CI/CD 파이프라인에 연결할 수 있다
즉, IaC는 “실제 인프라를 소프트웨어처럼 관리”할 수 있게 만듭니다.
3) IaC 대표 도구 예시
IaC를 구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오픈소스/클라우드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Terraform
- AWS CloudFormation
- Google Deployment Manager
- Azure Resource Manager (ARM Template)
- Pulumi
여기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Terraform 입니다.
Terraform은 AWS, Azure, GCP, Naver Cloud, Oracle Cloud 등
모든 클라우드를 단일 코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즉, IaC는 특정 클라우드만 가능한 기술이 아니라,
“멀티클라우드 운영의 표준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IaC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IaC는 보통 다음 단계로 구성됩니다.
- 인프라 코드 작성 (ex: terraform, yaml, json)
- 코드 저장 (Git, GitLab 등)
- 실행 (CLI/CI/CD 통해 배포)
- 클라우드 API 호출 → 리소스 생성
- 결과 저장 및 상태 관리
핵심은 모든 인프라 변경이 코드 기준으로 수행된다는 점입니다.
즉, 콘솔 클릭으로 만든 인프라는 IaC 관점에서는 정답이 아닙니다.
“인프라 변경은 반드시 코드로 해라” 이것이 IaC의 패러다임입니다.
5) IaC는 DevOps와 어떻게 연결되는가?
현대 DevOps 운영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인프라도 파이프라인에서 자동 배포합니다.
예시 시나리오:
- 개발자가 Git에 PR
- CI/CD 파이프라인이 자동 빌드
- IaC 코드가 실행되어 인프라 업데이트
- 앱 배포까지 자동 완료
즉, IaC는 DevOps의 운영 속도와 신뢰성을 만들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6) 마무리
인프라 자동화(IaC) 는 단순한 기술 옵션이 아니라
현대 클라우드 운영에서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기본 원칙입니다.
IaC는 다음을 제공합니다:
- 인프라를 소프트웨어처럼 관리한다
-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지 않는다
- 기록·재현·검증·배포가 모두 코드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제 인프라는 “문서”가 아니라 “코드”가 되어야 합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확장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싶다면
IaC는 가장 먼저 도입해야 할 기술입니다.